Loading
DBL 추진
DBL 추진사항

DBL 추구를 통해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얻고 궁극적 지향점인 행복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DBL 추진방향

DBL 추구를 통한 Biz Model 혁신을 달성하여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얻고 궁극적 지향점인 행복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기존의 EV 중심 업무 속에 숨겨져 있던 SV 요소를 발견해 이를 확대 추진하고, 이해관계자에 SV를 제공해 지지를 얻음으로써 EV 재창출까지 연결하고자 합니다. 또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통해 SV와 EV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신규 Biz Model 발굴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사내 벤처인 하이개러지(HiGarage)를 통해 다양한 가능성을 실현하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內 ‘WeDoTech 센터’ 건설로 대-중-소 상생 협력 모델을 마련해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와 SK하이닉스의 지속성장을 위한 도전을 이어갑니다.

닫기

DBL 추진 방향

기존 사업
EV 추구과정의 SV 요소 확대
EV 창출 지속
ESG 수준 강화
기존 업무에서 SV 요소 발굴/확대
DBL Biz Model
SV 창출을 통한 EV 추구
SV+EV 동시 추구 가능한 신규 Biz Model Launching

SK하이닉스는 DBL 내재화 및 추진 강화를 위해 DBL 경영 시스템 ·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DBLMS DBL MANUAL SK하이닉스 DBL의 모든것

  • Step1

    DBL 실행 가이드북인 DBLMS 발간
    DBLMS는 SK구성원의 SV 창출을 위한 가이드북으로 SKMS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이기도 합니다. SV 창출을 위한 선행 평가 체계와 그 활용방안도 담고 있습니다.
    DBLMS 1.0 발간 (‘18) -> DBLMS 2.0 개정(‘19) -> DBLMS 2.1 개정 (‘21)
  • Step2

    DBL RI (Readiness Index) 진단 체계 구축
    DBL RI (Readiness Index) 라는 진단 체계 구축을 통해 진단 서베이를 실시하여 각 조직의 DBL 인지-추진 수준을 측정하고 개선 방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Step3

    전 담당 KPI 평가에 SV 항목 반영
    2020년 부터는 전 담당 평가에 SV 항목을 반영하여 전사적으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DBL RI 진단 리포트를 기반으로 SV KPI 셀프디자인

SK하이닉스는 현장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DBL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가고 있습니다.

DBL 실천단

현장 SV 내재화 및 아이디어 성과 · 발굴 전담 조직으로, SV 사례 발굴, 벤치마킹, 교육뿐만 아니라 발굴된 현장 SV사례를 발전시켜 Biz Model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Water Free Scrubber ('19년 SK SUPEX賞 수상)

SV 개선 제안

SV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SV 아이디어 개선∙제안 시스템으로 심사를 통해 부여된 등급에 따라 개인포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구성원이면 누구나 환경오염 저감, 자원소비 절감, 반도체 생태계 강화 등 SK하이닉스가 실천할 수 있는 SV 창출 아이디어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역할

DBL Biz Model 추진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객을 재정의하고, 반도체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해관계자를 협력사와 지역사회로 확장해 다양한 가치 창출 요구를 충족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협력사의 기술 성장과 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 활동을 통해 대한민국 반도체 생태계를 강화하고,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 및 지역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며 지역사회 SV 창출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닫기

SK 하이닉스의 역할

  • 협력사

    인재 육성 및 기술 경쟁력 강화
    반도체 기술의 챌린지
    반도체 산업 생태계 역량 격차 해소
    협력사와 함께 상호 Win-Win 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과 역할 수행을 위해 공유 인프라 플랫폼을 구축, 운영하여 협력사의 인재 육성 및 기술 경쟁력 강화에 함께 하고 있습니다.
  • 지역사회

    환경 훼손 방지 및 삶의 질 향상
    환경 목표 선언
    취약계층 중심 사회공헌
    지역사회 환경 훼손 방지를 위해 2022 ECO Vision 환경 목표를 선언했습니다. 온실가스 40% 감축(‘16년 대비), 폐기물 재활용률 95% 달성, 해외 사업장 재생에너지 100% 사용이 핵심 목표입니다.
TOP